loading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자본잠식 기업, 투자 전 반드시 확인할 것들

'자본잠식'이라는 용어는 흔히 부도 직전 상태나 기업 부실을 연상시킨다. 하지만 실제로는 자본잠식 상태의 기업이 회생하거나 오히려 큰 수익을 안겨주는 경우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자본잠식 기업은 고위험 영역에 속한다. 이 글에서는 자본잠식이란 무엇이며, 왜 발생하는지, 투자 시 어떤 점을 반드시 확인해야 하는지를 회계적 관점과 실전 사례로 설명한다.1. 자본잠식이란 무엇인가?자본잠식이란 기업의 누적된 손실이 자본금보다 많아진 상태를 말한다. 회계적으로는 아래와 같은 계산식으로 판단한다.자본잠식 조건:자본총계 = 자산 - 부채 즉, 기업이 보유한 자산보다 갚아야 할 부채가 더 많은 상태다.자본잠식에는 두 가지 단계가 있다:반 자본잠식 (50% 이상): 자본총계가 자본금의 절반 미만인 상태완전 ..

숫자로 읽는 투자 2025. 11. 3. 17:00
배당이익 예측, 회계로 가능할까?

배당은 주주가 기업으로부터 받는 가장 직접적인 수익이다. 그러나 투자자들은 흔히 배당을 과거 실적이나 배당성향만 보고 예측하는 실수를 범한다. 실질적인 배당의 지속 가능성과 증액 가능성은 단순 수치가 아니라, 기업의 회계 정보를 얼마나 깊이 있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다르게 보일 수 있다. 이 글에서는 배당 결정과 회계 사이의 연관성, 그리고 배당 가능성을 사전에 예측할 수 있는 회계 지표들을 중심으로 살펴본다.1. 배당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결정되는가?배당은 기업이 벌어들인 이익 중 일부를 주주에게 현금이나 주식으로 분배하는 것을 말한다.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현금배당이며, 정기적으로 실시되는 분기 또는 연간 배당 외에 특별배당도 존재한다.배당은 이사회에서 결의하여 주주총회를 통해 확정되며, 보통 아래 요..

숫자로 읽는 투자 2025. 11. 3. 16:00
이익률 없이 투자하면 생기는 착시와 손실

투자를 할 때 많은 사람들이 PER, PBR 같은 지표만을 보고 판단한다. 하지만 이익률, 즉 기업이 벌어들이는 ‘진짜 수익률’을 보지 않고 투자하면 매출은 많지만 이익은 남지 않는 기업에 속을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영업이익률, 순이익률 등 이익률 지표가 왜 중요한지, 실전 사례를 통해 설명하고, 이익률 없는 투자의 리스크를 명확하게 짚어본다.1. 이익률이란 무엇이며, 왜 중요한가?이익률은 매출 대비 이익의 비율을 의미하며, 기업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핵심 지표다.대표적인 이익률 지표:영업이익률 = 영업이익 ÷ 매출 × 100순이익률 = 당기순이익 ÷ 매출 × 100총이익률 = 매출총이익 ÷ 매출 × 100이익률이 높다는 것은 매출 대비 이익이 많이 남는 구조이고, 이익률이 낮으면 팔기는 해도 실속이 없..

숫자로 읽는 투자 2025. 11. 3. 15:00
회계장부 vs 현금, 숫자 착시에 속지 마라

많은 사람들이 재무제표에서 당기순이익이나 매출 증가만 보고 기업의 재무 상태를 판단한다. 하지만 그 숫자들이 말하지 않는 것이 있다. 회계장부에는 분명히 흑자가 찍혀 있지만, 실제로는 회사 통장에 돈이 없거나, 오히려 자금난에 빠져있는 경우도 많다. 숫자의 착시에 빠지지 않기 위해, 투자자는 반드시 '현금 흐름'과 '장부상 수익'의 차이를 이해해야 한다. 이 글에서는 실제 기업 사례와 함께, 회계장부와 실제 현금 사이의 간극을 명확히 파악하는 방법을 다룬다.1. 회계는 발생주의, 현금은 실물주의회계의 기본 원칙은 ‘발생주의(Accrual Basis)’다. 즉, 실제 현금이 오가지 않더라도, 수익이나 비용이 발생한 시점에 기록하는 방식이다.예를 들어:고객에게 제품을 팔고, 대금을 나중에 받기로 했다면→ 회..

숫자로 읽는 투자 2025. 11. 3. 14:00
이전 1 2 3 4 5 6 다음
이전 다음

티스토리툴바

운영자 : 닉네임
제작 : 아로스
Copyrights © 2022 All Rights Reserved by (주)아백.

※ 해당 웹사이트는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금융 상품 판매 및 중개의 목적이 아닌 정보만 전달합니다. 또한, 어떠한 지적재산권 또한 침해하지 않고 있음을 명시합니다. 조회, 신청 및 다운로드와 같은 편의 서비스에 관한 내용은 관련 처리기관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